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

트럼프 취임 연설 후, 투자는 어떻게? 어떤 종목?

by kimchiplease 2025. 1. 22.
반응형

*이 글은 투자를 강요하는 글이 아니며, 경제의 흐름을 분석하는 글쓴이의 개인의견이다. 투자책임은 모두 각개인에게 있다.

 

2025년 1월 20일, 트럼프의 취임 연설이 있었다. 연설문 원본을 읽고 싶다면 아래 백악관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whitehouse.gov/remarks/2025/01/the-inaugural-address/

 

The Inaugural Address – The White House

U.S. CapitolWashington, D.C.12:10 P.M. EST THE PRESIDENT:  Thank you.  Thank you very much, everybody.  (Applause.)  Wow.  Thank you very, very much.Vice

www.whitehouse.gov

 

이제 방금 트럼프의 30분가량 되는 연설문을 들은 사람으로서 투자의 방향성이 어떻게 될까 생각하며 급하게 종이와 펜을 꺼내 필기해 보았다. 대다수가 알다시피 트럼프는 행동력이 강한 사람이기에 투자판도 생각보다 빠르게 영향을 받지 않을까 조심히 생각해 본다.

 

자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트럼프의 새로운 정책들을 알아보자:

 

1. 석유, 에너지

  • 비록 미국에 석유가 엄청나게 많지만, 지금까지 많은 양의 석유를 수입하고 있었는데, 지금부터는 미국땅에 있는 석유를 쓰고 수출함으로써 석유와 생산의 단가를 낮추며, 경제를 활발하겠다고 말했다.
  • 개인적으로 배당금이 높은 미국 석유회사, 에너지회사에 투자를 시작하려고 알아보는 중이다.

2. 미국 내 자동차 생산, 그리고 전기차 의무화 철회

  • 자동차뿐만 아니라, 트럼프가 대체적으로 미국 내 생산율을 높이려고 한다. 2차 전지, 미국 내 전기자동차 생산율, 그리고 전기자동차 시장이 그전보다는 살짝 주춤하지 않을까. 하지만 트럼프 임기 기간이 끝나면 판도가 뒤집힐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공부하고, 지켜보고 이곳에 투자를 계속할지, 뺄지, 더 할지 생각해 봐야겠다.
  • 하지만 현재 일론 머스크와 아주 가까이 지냄으로써 테슬라는 오히려 이 정책에 생각보다 큰 타격을 안 받고, 오히려 경쟁력이 좋아질 것 같은 생각이 조금 든다.

3. 백신의무화 하지 않을 가능성. 그리고 백신회의론자를 장관으로 지명

  • 한국도 물론 백신주사의 대한 자유를 외치는 사람들이 많지만, 미국에는 한국보다 많다. 그래서 코로나 때 백신을 맞지 않음으로써 직장과 지인들을 잃은 사람이 수없이 많았다. 트럼프는 백신주사를 맞지 않음으로써, 미군부대에서 강제로 해고당한 사람들에게 정당한 수당을 지급한다고 하였다.
  • 그리고 최근 백신회의론자를 장관으로 지명함으로써 기존에 있던 big pharma companies, 즉 거대 제약회사들이 약간은 주춤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하지만 계속해서 새로운 바이러스가 우리에게 알려지면서 이것은 예측하기가 조금 어려운 부분일 것 같다.

4. 미국 군사, 우주 분야 공약

  • 트럼프는 미국의 안보를 위해 미국 군사와, 그리고 우주 분야를 강화한다고 했다. 방산주 분야들은 AI 로봇, 항공기 제작사, 무기업체, IT 보안 설루션 등이 있겠다.
  • 아까도말했다시피 지금 트럼트와 절친은 일론 머스크. 연설영상에서 트럼프가 "우리의 명백한 운명을 별들로 쫓아가고, 화성에 성조기를 꽂기 위해 미국 우주인을 보낼 것"이라고 했을때 카메라가 머스크 원샷을 당기고 그가 기쁘게 춤추는 장면이 찍혔었다. 지금 이 기점 space X 관련주들이 상승세라고 하는데 그것들은 공부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6. 중국과의 경쟁관계 (AI, 생산, 그리고 중국에 세금 60%?)

  • 중국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는 미국을 세계강국 1위를 뺏기지 않으려 안감힘을 다 쓸 것이다. 경제, 생산, 보안, 군사, 그 모든 면에서. 그래서 바이든 대통령의 AI 행정명령을 폐지함으로써 AI와 전자화폐시장이 급격히 자라고 대중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과 수입/수출하는 모든 나라, 대한민국 포함해 이것이 국내주식과 중국주식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잘 지켜봐야 한다.
반응형

댓글